::: 체지방을 알아야 다이어트에 성공한다 ::: |
|
▒ 비만의 기준은 체지방
체지방계에 표시된 비만 판정표- BI (Bioelectrical Impedance) |
비고 |
여윔 |
표준 |
가벼운 비만 |
비만 |
남성 |
10%미만 |
10%이상-20%미만 |
20%이상-25%미만 |
25%이상 |
여성 |
20%미만 |
20%이상-30%미만 |
30%이상-35%미만 |
35%이상 |
▒ 왜 여자는 남자보다 체지방율에서 10%가 더 많은가? 여자는 배란을 위한 호르몬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남자보다 체지방 비율이 높다.
▒
과체중과 비만 과체중이란? 몸무게가 신장에 비해 많이 나가는 경우 비만이란? 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 대사이상을 일으키는 경우(소비하는 열량보다 섭취하는 열량이 많아 여분의 열량이 지방 조직화 되기 때문이다.
▒ 비만 판정의 여러 가지 유형 체격지표에 의한 판정(신장에 따른
남녀 표준체중과 최대 허용체중)
남성 |
여성 |
신장 cm |
표준체중 kg |
최대허용체중 kg |
신장 cm |
표준체중 kg |
최대허용체중 kg |
153 |
51.5 |
58.5 |
150 |
47 |
56 |
155 |
53 |
60 |
153 |
49 |
585 |
158 |
55 |
62.4 |
155 |
50.5 |
60 |
160 |
56.5 |
64 |
158 |
52.5 |
625 |
163 |
58.5 |
66.5 |
160 |
54 |
64 |
165 |
60 |
68 |
163 |
56 |
66.5 |
168 |
62 |
70.5 |
165 |
57 |
68 |
170 |
63.5 |
72 |
168 |
59.5 |
70.5 |
173 |
66 |
75 |
170 |
60.5 |
72 |
175 |
67.5 |
76.9 |
173 |
63 |
75 |
178 |
69.5 |
79 |
175 |
64.5 |
76.5 |
180 |
71.5 |
81 |
178 |
66.5 |
79 |
183 |
73.5 |
83.5 |
180 |
68 |
81 |
185 |
75.5 |
85.5 |
182 |
69.5 |
83 | ▒ BMI (Body Mass Index): 체중을 신장으로 2회 계속 나눈
값으로 비만 판정하는 체격지수
▒ BMI= 체중(kg) ÷신장(m) ÷
신장(m)
▒ BMI에 의한 체격 판정표
BMI값
판정 |
BMI<20 |
20≤BMI≤24 |
24≤BMI≤26.4 |
26.4≤BMI |
여윔 |
보통 |
비만의
기미가 보임 |
비만 | ▒ BMI가 22전후의 사람들이 가장 병에 걸리기
어렵고 또한 사망률도 적다.
예) 본인의 체중 64kg ÷1.7m ÷ 1.7m= 22.14(아주
좋다)BI (Bioelectrical Impedance) 체지방계로 측정하되 개인데이타(신장,체중,년령,성별)을 토대로 측정
예) 신장 170cm , 체중 64kg, 년령 40세, 성별 남자, -> 체지방율 15%/체지방량
10kg 남자인 경우 (10%∼20%) 표준
또 하나의 비만도 측정표준체중=
(신장-100)×0.9 비만도= (실체중-표준체중)÷표준체중×10010%이상 과체중, 20%이상 비만
▒ 체지방율이란?
체중중에 체지방량(지방의 무게)의 점유비율 체중:
체지방량+여지방량(뼈,혈액,근육,수분...등) 체지방율(%)=
{체지방량(kg)÷체중량}×100 체지방량(kg)=체중(kg)-여지방량(kg)
▒ 비만의
원인 여러 가지가 있어서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렵다. 보통은 과식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내분비 이상, 스트레스,운동부족,대사장애 등도 비만의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고, 유전적 요인, 심리적 요인,
섭식장애, 갑상선 기능 저하, 과인슐린 혈중, 시상하부성 질환, 영양의 불균형이 있다.
▒ 비만의
형태 피하 지방형: 피부 바로 아래에 지방이 저장되는 형 내장 지방형: 내장
주변에 지방이 저장되는 형 내장 지방형은 CT촬영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지방산을 더 많이 분비해서 성인병이 발병할
위험이 높다. 혈액속에 인슐린 증가는 체중증가와 상관관계가 높은데, 내장지방은 체내 인슐린의 활동을
방해한다.비만인에게 당뇨병의 위험이 증가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실제, 당뇨병 치료에 비만해소시 4∼6배로 치료 효과가
증가한다. 지방간 환자가 체지방율 35.6%로 심각한 상태의 비만이었다가 체중조절로 간기능 수치가 정상으로돌아온 예가 있다.
▒ 비만 예방 한가지식품을 선택할 때마다 성분표를 보고 칼로리를
확인하고 고열량(고칼로리)을 제한한다.
섭취량 |
운동량 |
쌀밥한공기 200 Kcal
|
조깅20분 |
아이스크림 1개 140 Kcal
|
배구30분 |
라면1개 470 Kcal |
탁구85분 |
맥주1병 180 Kcal |
자전거30분
| ▒ 불임의 원인이
비만 체지방 증가가 배란 장애를 초래하고 배란 장애가 다시 체지방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거듭되다 보면 배란 자체가 유도가 안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쇼킹???? 허리띠 구멍 하나가 평균 수명 3년을
좌우한다.!)
▒ 비만과 여윔과 병 (과비만과 여윔도 건강에 주의) - 비만과
병 비만이라고 하는 것은 신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과도한 비만은 당뇨병,고지혈증,
고혈압등의 원인이 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또한 그러한 성인병은 한번 발병하면 비만해소만으로는 완치하는 것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비만의 정도를 체크하여 과도한 비만이 되지 않도록 몸을 관리하는
일이 중요하다.
- 여윔과 병 체지방이 적으면 적을수록 좋다라고 할 수는 없다. 지방은 에너지 저장
탱크로서의 활동외에 체온을 유지하기도 하고 비타민을 몸안에 운반하기도 하고 내장을 정상적인 위치에 유지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다. 지방의 양이 너무 감소하면 다음과 같이 증상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 너무 말라 일으키기 쉬운
증상 바이러스균에 저항력이 약해져 감기에 걸리기 쉽다 환경의 변화와 더위,
추위에 약하다 위하수(胃下垂)가 되기 쉽다. (여성의 경우)월경불순,무배란,무월경 등 남녀 모두 적당량의
지방존재가 건강을 유지함에도 아름다운 스타일을 유지함에 있어서도 필요 불가분한 것이다. |
welcome to
sj@sinjung.co.kr 저울 및 계측기기의 모든것(신정정밀기계) (Tel:055-237-5300~2,
FaX:055-237-5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