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뮴·구리·비소·수은·납·6가 크롬·유기인화합물·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시안·페놀중 해당
항목
3. 기타 위 유발시설과 유사한 시설로서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어 환경부 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시설
대상 시설별로 관계 중앙행정기관과 협의하여 고시한
검사항목
토양 수분 측정법 1. 환경 오염 공정 시험법의 측정 방법 칭량병 또는 증발접시나 비이커(주붐1)를
미리 105~110℃에서 1시간 건조시킨 다음 데시케 이터 안에서 방냉하여 무게(Wt)를 정확히 측정해 놓고 채취한 토양을 분쇄
혼합한 시료를 100g 정도를 취하여 칭량병 또는 증발접시에 넣고 무게(Ws1)를 정확히 단다. 105℃±2℃의 건조기 안에
넣고 4~5시간 건조시킨 다음 데시케이터 안에 넣고 방냉한 후 꺼내어 무게(Ws2)를 정확
확히 측정한다. ※ 계산식 수분(%)
= 100 × (Ws1 - Ws2) / (Ws1 - Wt) (주1) 칭량병 또는 증발접시나 비이커는 시료의 두께를 10㎜ 이하로 넓게 펼
수 있을 정도의 밑 면적이 넓은 것을 사용하고 가급적 무게가 적은 것을 사용한다. 2. 토양 화학 분석법의 측정 방법 토양중에 있는 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토양중에
있는 물의 함량을 측정하는 것과 토양중에 있는 물의 Energy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2-1. 토양수분의 함량 측정 채취한
토양을 분쇄 혼합하여 0.5㎜ 표준망체를 통과한 시료 2~25g을 무게를 알고 있는 증발접시 (용기 무게)에 담아 정확히 무게를 측정(습토
무게)하고 100~110℃ 건조기에서 10~16시간 충 분 히 건조시킨 후 데시케이터에서 넣고 약 30분 정도 식힌 후 무게를 측정(건토 무게)하여
그 감량을 건토에 대한 %로 표시한다. ※ 계산식 (습토 무게 + 용기 무게) ― (건토 무게 + 용기 무게) (습토 무게) ― (건토
무게) (건토 무게 + 용기 무게) ― (용기 무게) (건토 무게) (주)습토 무게 및 건토 무게는 용기 무게를 포함하지 않는 시료
무게입니다. 2-2. Water Potential
측정 토양 중 물의 Energy상태의 정량은 주로 토양 수분장력(tension)을
측정하는 것으로써 불포화 조 건에서는 Tensiometer, Gypsum Block 및 psychrometer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Tensiometer법은 Porous Cup(다공질 Cup)을 토양 중에 매설한 후 그 Porous Cup과 연결된
압력 Gauge의 눈금을 읽음으로써 수분장력을 직접 측정 하는 방법이다. Gypsum Block법은 전도체를 석고 Block내에 고정시킨 후 전선을 연결하여 석고
Block내에 고 정 되어 있는 전도도체간의 전기저항을 측정한 후 실험실에서 미리 구한 전기저항과 토양수분 장력간 의 Calibration
Curve를 사용하여 수분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Psychrometer법은 토양시료의 상대습도를 Sensor에 흐르는 전기적 전압으로
측정하여 전압과 수분장력과의 Calibration Curve를 사용하여 수분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포화조건, 특히 지하수의
Hydraulic Potential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Piozometer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